728x90
반응형

Android 89

오늘의 공부 내용(23.11.24)

(지금과 약간 다르다. 3년 전이라...) SnackBar을 사용하려고 하면 무조건 Scaffold.of(context).showSnackBar() 를 사용해야한다. of : 현재 주어진 context에서 위로 올라가면서 가장 가까운 Scaffold(Something)를 찾아서 반환하라 그냥 버튼 onPressed에다가 위의 메서드를 사용하면 발견되는 내용 The context used was: MyPage ScaffoldMessenger.of() called with a context that does not contain a Scaffold. Build 함수를 불러왔을 때, 그 인자값으로 전달되는 BuildContext는 return되는 위젯의 것이 아니라 이 함수를 불러오는 위젯의 BuildCont..

Android/Flutter 2023.11.24

<정리> 영단어 암기 앱

※ 이번 앱 만들면서 나중에 써먹을 수 있는 코드들을 정리해놓기 위한 글 ※ ViewPager(+Fragment) 관련 1. ViewPager 사용을 위한 사전 준비 build.gradle.kts(Module :app)에 dependencies에 해당 코드 입력 dependencies { implementation("androidx.viewpager2:viewpager2:1.0.0") } 2. VIewPager 레이아웃 적용 여기서는 ConstraintLayout이지만 다른 Layout 써도 된다. 3. Activity에서 ViewPager 선언 및 초기화 Activity 안에서 ViewPager를 이용해 Fragment를 생성하고 화면 전환하는 이번 앱 class TestActivity : AppCom..

Android/Kotlin 2023.11.24

git & github 정리(배운 것만)

* 윈도우 사용자는 bash 혹은 git bash로 터미널을 사용해야한다. 안 그러면 git 명령어가 잘 안 먹을 때가 있다. 리눅스 명령어 1. pwd (print working directory) : 현재 내가 작업하는 폴더를 보여달라는 뜻 2. ls (list) : 내 폴더 안에 있는 폴더 & 파일 내역을 보여달라는 뜻 - 폴더와 파일끼리는 색깔이 다르다. 3. ls -a (list all) : ls 명령어의 옵션 중 하나 숨겨진 폴더 & 파일(보통 .으로 시작하는 폴더 & 파일)까지도 보여달라는 뜻 4. cd 폴더명 (change directory) : 현재 폴더에 존재하는 폴더(ls 명령어로 확인한 폴더들 중 하나)로 이동해달라는 뜻 - 현재 내가 작업하는 폴더가 변경되는 것 - .. : 한 단..

Android/StoreInfo 2023.11.24

오늘의 공부 내용(23.11.23)

어제하던 Drawer Menu 이어서 했다. otherAccountPictures를 써봤는데 정말 간단했다. CircleAvatar 위젯은 정말 프로필이나 이미지 관련으로 다양하게 쓸 수 있을 거 같다. onPressed는 보통 Button에 많이 쓰이고 onTap은 gestureDetector나 InkWell에 쓰인다고 함 ListTile에서는 onTap을 사용함 기본적인 UI가 참 정갈하게 들어가는게 좋다... BuildContext ?? 상당히 중요한 역할 이해하려고 해보지 않는 부분 공식 문서 - "A handle to the location of a widget in the widget tree." ("widget tree에서 현재 widget의 위치를 알 수 있는 정보") => build me..

Android/Flutter 2023.11.23

오늘의 공부 내용(23.11.22)

Drawer menu를 만들어봤다. Scaffold 안에 drawer이 있더라 UserAccountsDrawerHeader은 이름은 길지만 확실히 Drawer에 반드시 들어가야하는 것들을 편하게 넣을 수 있게 해줘서 좋다. Boxdecoration에서 borderRadius 건드릴 때, BorderRadius.only로 꼭짓점마다 둥글게 할 수 있는 건 아주 좋다. 전에 이런 거 할 때 전체를 둥글게 한 다음에 transform 써서 억지로 내리고 했던 거 같은데 그렇게 안 해도 된다..!! 완성은 다음에~~

Android/Flutter 2023.11.22

오늘의 공부 내용(23.11.21)

클래스 : 객체가 가져야하는 속성과 기능을 정의한 내용을 담고 있는 설계도 역할 객체 : 클래스가 정의되고 메모리상에 할당되어진 순간의 클래스 인스턴스 : 클래스를 기반으로 코드 상에서 새롭게 만들어져 클래스의 속성과 기능을 동일하게 가지고 있고 프로그래밍 상에서 사용되는 대상 위젯은 인스턴스 클래스와 위젯의 상관관계

Android/Flutter 2023.11.21

오늘의 공부 내용(23.11.20)

1. AppBar 관련 // AppBar의 타이틀을 가운데 위치시키는 것 centerTitle: true, // AppBar의 배경색을 바꾸는 것 backgroundColor: Colors.amberAccent, // AppBar 하단의 음영을 조절하는 것(소수점 가능) elevation: 0.0, 2. Padding 관련 // 좌, 상, 우, 하 순으로 패딩을 직접 정할 수 있음 padding: EdgeInsets.fromLTRB(30.0, 40.0, 0.0, 0.0), 3. Column 관련 // 세로축을 기준으로 Column 위젯을 상,중,하단 등으로 정렬할 때 사용 // MainAxisAlignment.start은 상단으로 정렬 mainAxisAlignment: MainAxisAlignment.s..

Android/Flutter 2023.11.20

activity 소개

Activity 클래스 Android 앱의 중요한 구성요소 - activities가 실행되고 결합되는 방식은 플랫폼 애플리케이션 모델의 기본 요소 main() 메서드를 사용하여 앱을 실행하는 프로그래밍 패러다임과 달리 Android 시스템은 수명 주기의 특정 단계에 해당하는 특정 콜백 메서드를 호출하여 Activity 인스턴스의 코드를 시작한다. activity의 개념 activity는 앱과 사용자의 상호작용을 위한 진입점 역할 - 모바일 앱 환경과 데스크톱 앱 환경의 차이점은 사용자와 앱의 상호작용이 항상 동일한 위치에서 시작되지 않는다는 것 - 한 앱이 다른 앱을 호출할 때 호출하는 앱은 다른 앱을 전체적으로 호출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앱의 activities를 호출 - activity는 Activi..

Android/StoreInfo 2023.11.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