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C/CS
<컴퓨터 구조론> 정리 2
re트
2023. 12. 5. 20:04
728x90
1. 비트(bit) : 0과 1을 표현하는 가장 작은 정보 단위
- n 비트로 2^n 가지의 정보 표현 가능
- 프로그램은 수많은 비트로 구성
- 비트보다 큰 단위
- 1바이트(1Byte) = 8비트
- 1킬로바이트(1kB) = 1000바이트
- 1메가바이트(1MB) = 1000킬로바이트
- 1기가바이트(1GB) = 1000메가바이트
- 1테라바이트(1TB) = 1000기가바이트
(이전 단위를 1000개씩 묶는 게 아니라 1024개씩 묶는 단위는 kiB, MiB, GiB 등으로 구별된다.)
2. 워드(word) : CPU가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정보의 크기 단위
- 하프 워드(half word) : 워드의 절반 크기
- 풀 워드(full word) : 워드 크기
- 더블 워드(double word) : 워드의 두 배 크기
3. 이진법(binary) : 1을 넘어가는 시점에 자리 올림을 하여 0과 1만으로 수를 표현하는 방법
- 표기법 : 1000(2) or 0b1000
- 0과 1로 음수를 표현할 때 2의 보수 사용
- 어떤 수를 그보다 큰 2^n 에서 뺀 값
- 모든 0과 1을 뒤집고 1을 더한 값
- 같은 표기법을 가진 양수와 음수는 CPU 내부의 플래그 레지스터 값을 통해 구분이 가능
4. 십육진법 : 15를 넘어가는 시점에 자리 올림을 하여 0~F로 수를 표현하는 방법
- 표기법 : 15(16) or 0x15
- 컴퓨터의 데이터를 표현할 때 이진법만으로는 숫자의 길이가 너무 길어져서 사용
- 이진수와 십육진수 사이의 진법 변환이 쉽다는 장점이 있음
반응형